굿바이 길드다
이희경(길드다) 길드다의 4년 실험이 막을 내렸다. 공식적으로 말한다면, 길드다는 각 구성원의 조건과 욕망에 따라 두 팀으로 분화한다. 한 팀은 길드다 아젠다 활동을 계속해 나갈 것이고, 다른 한 팀은 유튜브 활동에 집중할 것이다. 길드다의 현재 역량과 상황을 반영한 구조조정이고 전진적 개편이다. 그러나 이런 쿨한 공식적 멘트 이면에서 내 속은 좀 복잡하다. 단순하게 말하면 길드다 4년 중 처음 2년간은 재미도 있었고 보람도 있었는데 이에 비해 후반부 2년은 힘은 힘대로 들고 마음은 고달팠다. 나는 대체로 답답했고 속이 터졌는데 그런데도 이 감정을 청년들에게 전달하는 건 쉽지 않았다. 약간의 회고는 불가피하다. 4년 전 길드다는, 4인(5인)의 청년 + 1인의 사장으로 구성된 “인문학 스타트업”으로 출발하였다. 처음부터 정체성이 애매하긴 했다. 4(5) + 1의 구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명하지 않았다. 그건 5+2가 될 수도 있는 것일까? 혹은 10+1도 괜찮다는 것이었을까? ‘인문학 스타트업’이라는 표현도 마찬가지이다. 경제적 자립을 지향한다는 뜻을 담은 것이지만, 그것이 인문학 프로그램을 주요 사업모델로 한다는 것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출발한 건, 내가 경험했던 인문학 공동체에서의 청년들의 위치 때문이었다. 나는 청년들이 중, 장년 중심의 인문학 공동체에서 ‘치이는’ 사례를 계속 봐왔다. 다시 말하면 성인 중심의 인문학 공동체에서 청년은 시작에서뿐만 아니라 시간이 흘러도 계속 ‘선생님(들)’께 배우고 혼나는 미숙한 학인의 위치에서 벗어나기 힘든 것 같았다. 게다가 문탁네트워크의 경우엔 ‘선생님’에 더해 (감수성의 측면에서) ‘엄마’들도 많았다. 언젠가 지원이가 말했던 것처럼 “백 명의 엄마들에게 잔소리를 듣는 것” 같은 문화가 우리에겐 있었다. 계몽적 구도! 혹은 유사 가족주의! 이런 식으로는 청년들은 영원히 자립하기 힘들다. 나는 청년들을 어른들의 ‘감시’...